미세먼지 사이트
몇년 전만 해도 봄가을에 며칠정도 오던 황사였는데, 이제는 거의 연 중 시도때도 없이 황사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이하 PM10)와 초미세먼지(이하 PM2.5)가 한국을 뒤 덮고 있다. 황사와 달리 PM10과 PM2.5는 눈에 보이지도 않고, 알게 모르게 인체에 들어가면 엄청난 해를 일으키는 산업 오염 공해 물질이다.
이런 눈에 보이지도 않는 공해 물질이 오지 못하도록 근본 원인을 차단하는 방법이 제일 좋겠지만, 이는 당장 어려운 일이다. 황당하게도 그나마 이를 조금이라도 막기 위해서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실내에서는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는 방법 뿐이다.
뉴스에 나오기 전에 평소에 일기예보를 보듯이 이들 대기중 오염물질 정도를 확인하면 좋다. 다음이나 네이버같은 포털에서도 확인을 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정보 내용이 두리뭉실하고 또 지역적으로 세세하게 알 수 없다. 포탈보다는 해당 전문 사이트에서 직접 확인하는 방법이 좋다.
1 에어 코리아
http://www.airkorea.or.kr/index
에어코리아는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는 전국 실시간 대기오염도 미세먼지 사이트다. PM10, PM2.5, 오존,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통합대기지수를 제공한다. 우리동네 대기질에서 본인이 원하는 지역을 검색하면, 검색지역과 가장 가까운 측정지역으로 설정을 할 수 있다. 단 PM2.5는 아직 일부 지역만 측정을 하고 있다. 주로 수도권지역에 측정소가 몰려있다. 우리동네 대기질에서는 PM10 기준으로 두 수치를 크게 보여 주는데, 하나는 최근 1시간 이내 측정치, 다른 하나는 최근 24시간 이내 측정치이다. 그 밑에 일곱가지 항목에 관한 측정치를 보여 준다. 아쉬운 점은 업데이트가 실시간에서 이삼십분정도 늦다. 예를 들면 23시면 23시 20분쯤 지나서 측정치를 볼 수 있다. 또한 대기질에 관한 예보과 경보도 아울러 볼 수 있어서 대비를 할 수 있다. 대기 측정에 관해서 가장 기본인 사이트다.
2. 경기도 대기환경 정보서비스
http://air.gg.go.kr/airgg/index.html
만약 경기도에 거주를 한다면 이 미세먼지 사이트가 유용하다. 기본적으로 에어 코리아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데, 경기도 지도에서 원하는 지역을 설정 할 수 있다. 에어 코리아 사이트보다 실시간 업데이트 속도가 더 빠르다.
3. 서울특별시 대기환경정보
http://cleanair.seoul.go.kr/main.htm
서울시 각 구별 대기 상태 측정 농도를 볼 수 있다. 경기도 대기환경 정보서비스처럼 서울시 지도를 보여 주며 전체적인 상태를 볼 수도 있고, 원하는 구를 설정해서 해당지역 수치를 더 자세히 볼 수 도 있다. 서울 거주자에게는 가장 기본적인 사이트다. 단 지도는 플래쉬로 작동을 하는 것 같은데, 아이폰에서는 플래쉬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지도 표시는 볼 수 없고 표로 수치를 확인해야 한다.
외국 사이트:
4. 중국 대기질 지수 정보
https://aqicn.org/map/#@g/36.2638/122.3108/6z
전세계 대기오염 측정자료를 미국환경보호청 대기질 지수(AQI)로 볼 수 있다. 지도를 확대 축소해서 원하는 지역을 더 자세하게 볼 수 있다. 한국만 따로 볼 수도 있다. 예를들면 http://aqicn.org/city/seoul 에서는 서울지역 수치를 볼 수 있다. 중국 사이트이지만 영어나 중국어에 익숙치 않아도 쉽게 이용 할 수 있다. 중국지역 대기오염 정도를 보면 대략적으로 한국 대기오염 정도를 예상해 볼 수 있다.
5. 일본기상협회
http://www.tenki.jp/particulate_matter/ [데스크탑]
http://www.tenki.jp/lite/particulate_matter/ [모바일]
일본기상협회 사이트다. 현재부터 48시간 PM2.5 농도 예측을 한중일 지도로 볼 수 있다. 실시간 측정 자료는 아니고 예상 자료이므로 현재 상태를 나태내지는 않고 앞으로 대략적으로 어떨지 예상을 할 수 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에서 한국으로 송금하는 방법 (0) | 2016.06.08 |
---|---|
우편 엽서·우편번호 (0) | 2016.05.30 |
혼인신고서 양식 (0) | 2016.05.28 |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설명 (0) | 2016.05.21 |
(종이) 우편봉투 쓰는 법 (0) | 2016.05.15 |